본문 바로가기
Sooin's Domain/Design, HFE, HRI, HCI, UX

[HFE] 사용성연구방법(feat. 나도 빨리 해보고 싶당)

by SOOIN'S STUDY 2024. 4. 2.

본 내용은 정광태교수님의 강의를 재구성하였습니다.

 

 

 

 

 

 

아래는 이전에 작성했었던 연구가 필요한 이유와 연구절차이다.

이번 글은 이를 바탕으로 더 자세히 구체적으로 연구의 방법을 풀어보려 한다.

https://sooin-study.tistory.com/4

 

01.1.2 연구가 무엇인가?

그래서 연구는 어떻게 하는 건데? ...... 몰라..! 일단 연구절차를 알아보자. 문제의 정의 → 연구계획 및 설계 → 자료수집 → 자료분석 → 결과해석 및 보고 문제를 정의하고 연구를 설계할 때 연

sooin-study.tistory.com

 

 

*사용성 평가의 목적은 사용자가 편안하게 제품을 다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합이다!

 

 

연구 절차

1. 문제정의

: 문제제기 -> 문헌조사 -> 문제형성 -> 가설 도출

 

2. 평가실험계획(평가방법 결정)

: 변수선정 -> 실험계획

 

3. 평가

: 예비실험 -> 본실험

 

4. 자료분석

: 통계분석 -> 가설검증

 

5. 결과해석

: 평가결과 해석

 

6. 결론

 

 

 

 

연구 가설

가설을 세우는 이유는 내가 밀고 싶은 주장이나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서 이다!

 

가설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 귀무가설(H0)

: 모집단의 특성에 차이가 없다고 하는 가설

 

2. 대립가설(H1)

: 모집단의 특성에 차이가 있다고 하는 가설

- 귀무가설에 대립, 연구자가 주장하는 가설

 

 

 

 

변수 정의

모든 것을 안다면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상수를 사용한다.

하지만 현실세계에서는 전체를 다 알 수가 없다. 따라서 변수를 사용한다!

 

변수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 다른 변수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 자체 값을 갖는 변수

 

2.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

: 독립변수의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 변수, 관심과 측정의 대상이 되는 변수

 

 

 

 

피실험자

본인이 실험계획을 세우고 실험한다면

이미 모든 것을 알고 있기에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피실험자가 필요하다!!

 

아무나 피실험자를 선정해도 될까?

다음과 같은 예시를 보자.

곧 있으면 오는 선거일을 위해 어느 정당의 지지율이 높은지 알고 싶다.

모든 사람에게 물어본다면 가장 신뢰도가 높겠지만 현실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다.

그래서 전화로 어느 정당을 지지하는지 설문을 한다.

대부분의 전화는 9시부터 6시까지 진행이 될 것이며

연락을 받는 사람들(피실험자)은 해당 시간에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일 것이다.

무작위로 전화를 하여도 비슷한 집단을 조사한 것이나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러한 설문이 높은 신뢰도를 갖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좋은 피실험자를 선정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1. 피실험자 선정

: 목표 사용자집단을 대표하는 피실험자 선정

- 피실험자 집단의 세분화 여부 결정 : 사용경험, 사용빈도, 인구통계학적 등

- 샘플릭 전략 결정 : random sampling, systematic sampling 등

 

2. 피실험자 수

- 사용성 이슈를 발견을 위해 : 상대적으로 적은 인원

- 실험을 통한 정량적 비교를 위해 : 최소 8명 이상

- 주관적 평가를 통한 정량적 비교를 위해 : 최소 30명 이상

 

 

 

 

사용성 목표(Usability Goal)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도와 만족도를 측정한다.

 

1. 수행도(Performance)

: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모든 것

(Performance is all about what the user actually does in interacting with the product)

: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여 그들의 목표를 얼마나 성공적으로 달성하는가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

(It includes measuring the degree to which users can successfully accomplish a task or set of tasks)

 

2. 만족도(Satisfaction)

: 만족도는 제품의 사용에 대해 사용자가 만족스러워하는 정도에 대한 모든 것

(Satisfaction is all about what the user says or thinks about his interaction with the product)

 

 

 

 

사용성 연구의 데이터 유형(Data types of Usability Test)

사용성 연구 수행 중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어떠한 데이터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이다.

 

일반적으로 정석적(formative) 데이터와 정량적(summative) 데이터이다.

사용성 연구의 방향에 따라 데이터를 사용해야 한다.

 

1. 정성적 사용성 연구(Formative Usability)

- 사용자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방해하는,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중요한 사용성 이슈들은 무엇인가?

(What are the most significant usability issues that are preventing users from completing their goals or that are resulting in inefficiencies?)

 

- 사용자들이 사용하는데 만족스러운 부분, 불만족스러운 부분은 무엇인가?

(What aspects of the product work well for the users? What do they find frustrating?)

 

- 사용자가 자주 범하는 오류는 무엇인가? 그러한 부분이 리디자인을 통하여 개선되고 있는가?

(What are the most common errors or mistakes users are making? Are improvements being made from one design iteration to the next?)

 

- 제품이 출시된 이후에도 남아있으리라고 예상하는 사용성 이슈는 무엇인가?

(What usability issues can you expect to remain after the product is launched?)

 

 

 

 

 

 

 

다음 글에는 사용성 연구의 실험계획법을 소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