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Thinking Research: Interrogating the Doing"를 집필한 Julia P. A. von Thienen, William J. Clancey, Christoph Meinel가 UN-Design-Thinking에 대한 연구를 했다. 이에 관련된 내용을 넣었다.
Intro
이 책을 집필한 연구자들은 "간단하고 직접적인 질문을 하는 것이 기존의 프레임워크를 도전하고, 프로세스를 재구성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라고 말하였다.
- 무엇을 했는가? WHAT did you DO?
- 왜 그것을 했는가? WHY did you DO THAT?
- 그것을 하면서 무엇을 배웠는가? WHAT did you learn from the DOING?
이 연구는 위의 세가지 질문에 답하면서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를 발견하였는데,
"모든 사람이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받아들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디자인사고를 하는 사람들에게 기존의 규범에서 벗어나도록 권장한다.
디자이너들은 다섯가지 사고방식 요소를 재평가하고, 그것이 UN-Design-Thinking이다.
- 배운 것을 버리기(UN-learn)
- 편견에서 벗어나기(Un-bias)
- 가정(가정하는 것)을 버리기(Un-assume)
- 발견하기(UN-cover, discover)
- 기존 생각에서 벗어나기(UN-think)
인간 중심 디자인 방식 vs 문제 지향적 디자인 방식
먼저 기존에 널리 사용하던 마인드셋에 대한 강점과 단점을 소개한다.
인간 중심적: 디자인 활동에서 필수적이다.
: 인간 중심은 사용자들을 깊이 공감한 통찰력을 통해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강조한다.
- 강점: 실제 사용자의 요구를 다루면서 신뢰와 연결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감성적으로 매력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 Challenges: 인간 요인을 지나치게 집중하면서, 포괄적인 시스템이나 기술적인 제약들, 문맥적인 뉘앙스를 방치하고 부저절한 해결방안을 이끌 수 있다.
문제 지향적: 의미있고 가치있는 디자인 솔루션의 필수 조건이다.
: 문제 지향은 상황적, 작동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문제에 영향을 주고, 즉각적인 문맥에 맞는 맞춤형 해결방안을 찾는다.
- 강점: 독특한 상황의 조건에서 깊은 분석을 통해 해결방법의 기준을 잡으며 명확함과 정확함을 촉진시킨다.
- Challenges: 문제의 틀을 잡는 것은 편향과 제한된 관점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노력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거나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UN 디자인 씽킹
UN 디자인 싱킹은 인간 중심적과 문제 지향적의 사고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것이 아니라, 단점들을 상쇄하는 것이다.
기존의 사고방식에 대한 의문을 던지고 관습적인 틀에서 벗어나, 디자인 싱킹 방법들을 재정의한다.
아래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통해, 편향을 제거하고 새로운 관점을 얻어 해결방법을 조성하는 것에 초점을 둔 방법이다.
다섯가지의 핵심 구성요소
- 배운 것을 버리기(UN-learn)
: 과거의 경험과 가정이 문제 해결을 방해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극복한다. - 편견에서 벗어나기(Un-bias)
: 디자인 과정에서 인지적인 편향을 식별하고 제거한다. - 가정(가정하는 것)을 버리기(Un-assume)
: 무의식적인 가정을 점검하고, 그 타당성을 의문시한다. - 발견하기(UN-cover, discover)
: 눈에 보이는 문제나 필요를 넘어서 숨겨진 문제나 새로운 요구사항을 발견한다.
(사용자의 내재적 및 외재적 요구를 파악) - 기존 생각에서 벗어나기(UN-think)
: 전통적인 사고방식을 버리고 실험과 적극적인 탐구를 통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추구한다.
"덜 생각하고, 더 행동하라!"
왜 UN 디자인 싱킹이 필요한가?
- 편향을 극복하기 위해
: 디자이너나 팀들은 무의식적으로 그들의 관점과 추정, 문화적인 백그라운드에 대한 편향을 가지기 때문이다. - 복잡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 현대 디자인들은 다방면으로 복잡하게 문제를 바라보아야하고, 더 깊은 이해와 창의적인 해결방식에 도전해야하기 때문이다. - 새로운 기회 탐구를 위해
: 전통적인 방법들이 간과했던 것을 찾아 숨겨진 가능성을 위함 때문이다.
Conclusion
UN 디자인 싱킹은 전통적인 디자인 싱킹에서 "편향과 가정"을 제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인간 중심적과 문제 지향적인 전략들의 균형을 잡아 새로운 해결방안을 위한다.
Reference
Design thinking research: Interrogating the doing, Charn, Switzerland, Spinger, https://doi.org/10.1007/978-3-030-62037-0
'Sooin's Domain > Design, HFE, HRI, HCI, 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sign] Engineering Design, 엔지니어링 디자인 (4) | 2024.11.06 |
---|---|
[UX] 응용현상학 (단 자하비) (4) | 2024.11.05 |
[UX] 현상학적 사회학 (단 자하비의 현상학 입문) (5) | 2024.11.01 |
[AI&UX] 현직자들이 말하는 직업의 변화 (3) | 2024.10.27 |
[AI&UX] 바이오센서를 활용한 가상환경 UX평가 (5)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