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oin's Domain28

[빅데이터] 가치있는 디자인으로 변환하는 마법(2) 인간공학은 산업공학에서 파생된 학문이다. 이번 글은 두 번째에 대해 이야기해보자.(1) 사용자 니즈 파악의 중요성(2) 가치있는 디자인으로 변환하는 마법 이번 글은 아래의 퓨처드릴과 똑같은 내용을 하고 있다.(제가 작성했습니다!)퓨처드릴을 구독하면, AI와 UX와 관련된 내용을 더 많이 볼 수 있다!https://futuredrill.stibee.com/ 퓨처드릴 - AIXAI Experience (AIX)의 이모저모를 전해드리는 '퓨처드릴'입니다!futuredrill.stibee.com 이전 시간의 내용을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산업공학의 핵심은빅데이터 빅데이터로사용자의 니즈를 사용자의 니즈로유용한 가치를 유용한 가치를 위한인공지능 모델 인공지능 모델의 기반은심볼릭과 뉴럴 분석 방식 심볼릭과 뉴럴.. 2024. 7. 4.
[빅데이터] 사용자 니즈 파악의 중요성(1) 인간공학은 산업공학에서 파생된 학문이다.그래서 오늘은 산업공학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이번 글은 이렇게 두 차례로 소개할 예정이다. (1) 사용자 니즈 파악의 중요성(2) 가치있는 디자인으로 변환하는 마법 이번 글은 아래의 퓨처드릴과 똑같은 내용을 하고 있다.(제가 작성했습니다!)퓨처드릴을 구독하면, AI와 UX와 관련된 내용을 더 많이 볼 수 있다!https://futuredrill.stibee.com/ 퓨처드릴 - AIXAI Experience (AIX)의 이모저모를 전해드리는 '퓨처드릴'입니다!futuredrill.stibee.com  산업공학의 핵심은 바로빅데이터이다. 여러군데 흩어져있는데이터를 하나의 핵심으로 모아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다.    "필요하다"의 힘 왜 니즈를 알아야해? 라고.. 2024. 7. 3.
[HFE] 사용성연구 실험계획법(feat.두근두근계획하기) 본 내용은 정광태교수님의 강의를 재구성하였습니다.   이번글은 실험계획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실험계획법이란?: DOE(Design of Experiments)는 실험에 대한 계획을 의미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하여 실험을 어떻게 실시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취하며, 어떠한 통계적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면 최소의 실험 횟수로 최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가를 계획하는 것이다. 사실 모든 것을 알면 좋겠지만!데이터의 양이 많으면 좋겠지만!현실에서는 알 수 없다!(과도한 시간과  돈 투자 문제, 현실 가능성 문제) 영국의 통계학자 R. A. Fisher가 작물 수확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 연구를 위해 실험계획법을 창시하였다.     실험계획 용어1. 특성치 (Characteristic Value): 실.. 2024. 4. 2.
[HFE] 사용성연구방법(feat. 나도 빨리 해보고 싶당) 본 내용은 정광태교수님의 강의를 재구성하였습니다.      아래는 이전에 작성했었던 연구가 필요한 이유와 연구절차이다.이번 글은 이를 바탕으로 더 자세히 구체적으로 연구의 방법을 풀어보려 한다.https://sooin-study.tistory.com/4 01.1.2 연구가 무엇인가?그래서 연구는 어떻게 하는 건데? ...... 몰라..! 일단 연구절차를 알아보자. 문제의 정의 → 연구계획 및 설계 → 자료수집 → 자료분석 → 결과해석 및 보고 문제를 정의하고 연구를 설계할 때 연sooin-study.tistory.com    연구 절차1. 문제정의: 문제제기 -> 문헌조사 -> 문제형성 -> 가설 도출 2. 평가실험계획(평가방법 결정): 변수선정 -> 실험계획 3. 평가: 예비실험 -> 본실험 4. 자료.. 2024. 4. 2.
[도서] 도널드 노먼의 심리학 (feat. 챕터1~2) "The psychology of everydaythings, Donald A.Norman"원문을 읽고 해석하였기에 정확하지 않습니다!  The Frustrations of everyday life많은 사람들은 정말 많은 제품들을 사용하며 매일매일 좌절감에 안고 지낸다.그리고 스스로를 탓하면서 살아간다.  그 이유는 "Pradox of Technologies(기술의 역설)" 때문이다.과거에는 어떠한 제품이 있다면 한 가지의 용도로 사용한다.주변에 있는 가위, 풀, 연필 등등.. 현재는 휴대폰만 생각하여도 정말 많은 용도로 사용한다.사진, 게임, 주식, 정말 많은 서비스들.. 휴대폰은 많은 기능,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사용자들은 많은 임무(터치나 제스처 등)를 행동하도록 하고사용자에게 많은 요소(시각, 청각.. 2024. 4. 1.
[HFE] 인간 기계 시스템의 기초(feat. EZPZ) 인터랙션...     인간이 기계를 사용할 때인간과 기계 사이에 인터랙션이 있다! 그 이유는 인간은 기계를이용하여 얻고자 하는"목적과 목표"가 있기 때문이다.     인간과 기계는 상호작용을 하는 관계인간과 기계 사이에서로 조작할 수 있도록Interface(인터페이스)즉 조작장치가 존재한다! 과거에는 아날로그적인Hardware가 대부분이었지만현재와 미래는 디지털적인Software가 주를 이룰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시각, 청각, 촉각 등다양한 오감에서 감지할 수 있다.     어떤 조작장치가 적합할까?사용성 평가를 통해 알 수 있다. 사용성 평가를 위해확인과 검증(validation&verificaiton) 단계가필수적이다.  만약 사용자 지표를 얻기 위해뇌파측정기(EEG)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알파 리듬이.. 2024. 3. 14.
[HFE] Man Machine System (인간기계시스템 영어버전!) 1. System : System refers to the activites to achieve a specific goal, linking various components to each other. If achieve a goal of system, there is "input, output, and feedback" with environment. [ input->system->output->feedback->input ]- Types of system Open-looped: If it is activated, it can no longer be controlled such like gun. Closed-looped: If it is activated, it can be controlled such.. 2024. 3. 14.
[UX] 디자인 방법론(feat. 너무 많아) "디자인 방법론 불변의 법칙 100가지"와 인터넷의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모든 디자인 방법론과 기법들의핵심은 에 있다.  인간 중심적인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 인간들과 소통하여 공감을 함으로써디자이너는 방법론을 잘 활용하여 적당할 때에 적절한 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      오른쪽의 세분화된 디자인 방법론은 왼쪽의 큰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위는 작은 Task들로 나누었지만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나눈 방법론도 존재한다.    1. Design Thinking Process 1단계: Empathize프로젝트의 요소들을 탐색하고 정의를 내리는 기획, 조사, 정의 단계 2단계: Define탐색, 통합, 논리 수립 단계→ 몰입적인 연구나 디자인 민족지학 연구를 통해 디자인 논리를 이끌어내는 단계 3단계.. 2024. 3. 11.
[HFE] 인간의 시각기능(시식별 요소) 시식별 요소란?눈으로 볼 수 있는 것들!!  시식별 요소는 아래와 같다.광속, 광도, 조도, 휘도, 반사율, 대비,노출시간, 광도비, 과녁의 이동, 휘광, 연령    광원에서 나오는"빛의 총량, 광속!"단위 : 루멘(Cd x Sr)   광원에서 특정 방향으로 발하는"빛의 세기, 광도!"단위 : 칸델라(Im / Sr)   어떤 물체의 표면에 도달하는"빛의 밀도, 조도!"조도 = 광도 / 거리²단위 : 룩스(Im / m²)  빛이 어떤 물체에 반사되어 나온 양"반사면의 밝기, 휘도!"휘도 = 광도 / 광원면적단위 : 니트(Cd / m²)  표면으로 부터"반사되는 비율, 반사율!"반사율 =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 / 표면에 비치는 빛의 양빛을 완전히 반사하면 반사율은 100%   반사율을 실생활에 대입해보.. 2024. 2. 14.
[UX] 디자이너가 가야할 곳은? 레퍼런스가 있어야 한다.  쉽게 말하자면자신만의 기준점이 생겨야 한다는 것이었다.   교수님은 도널드 노먼의 책을처음부터 끝까지 읽으면서도널드 노먼이라는 기준점이 생겼고그것을 통해서 다른 것도비교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다고 하셨다.  비교를 통해 도날드 노먼의 철학은자신에게서 점점 떨어져 나가고자신만의 철학도 생겨날 것이라고 조언을 하셨다.  흔들리지 않는자신의 레퍼런스가 있다면무엇이든 헷갈리지 않는다.  분야별로 각 레퍼런스가 있다면더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본질을 이해하려면절대 번역한 것을 보지 말아라. 번역가들마다 성향이 다르겠지만결국에 번역을 대충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yuval noah harari의21 Lessons for the 21st Century에서“change i.. 2024. 2. 13.
[HFE] 인간의 시각기능(빛과 조명) 우리가 볼 수 있는 빛은가시광선이다.    가시광선이란?눈으로 지각할 수 있는 빛의 영역이다.380~780nm 범위의 파장을 볼 수 있다.  색과 색채가 다른거라고?색(Color)시지각 대상으로서의 물리적 빛과그 빛의 지각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물리학적으로 색을 가시광선이라 부르며사실상 우리가 눈을 통해서 볼 수 있는 모든 색은빛에 의해 보이는 것이다.  색채(Perceived Color)색채는 물리적인 현상으로서의색이 감각 기관인 눈을 통해서 지각됐거나그와 같은 지각 현상과 마찬가지의경험 효과를 가리키는 현상이다.  아래와 같은 예시로색과 색채를 구분해보자. 푸른 새의 깃털을 포토샵 스포이드로 찍으면아래의 하늘색이 나온다. 여기서"색은 하늘색, 색채는 푸르다"라고 할 수 있다. 색은 단순하게 지각되는.. 2024. 2. 9.
[특별판] 디자이너는 그림 그리는 직업이야? (feat. 아니야!) 해당 글은 "박기철 교수님"의 강의와 저만의 디자인 철학으로부터 재구성하였습니다.   어! 너 디자인과야? 나 좀 그려줘!   내가 디자인과를 선택했을 때 가장 많이 들었던 말 중 하나이다.  나는 이 말을 듣고 자랐기에당연히 디자인은그림을 잘 그리는 직업인 줄 알았다.    그래서 디자인은 예쁘게 만드는 행위일까?    이 글을 작성하기 위해 네이버에 "디자인"이라고 검색하였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한 디자인은그림이라고 말하는 충격적인 검색결과이다. 입시미술 확인한 순간이었다..  구글에 Design이라고 검색해 보면 어떨까? 확실히 한국 검색플랫폼과의 다른 검색결과를 얻었다. 디자인(Design)이라는 말은라틴어 Designare와 Disegno에서 유래하였기 때문에나라마다 인식차이가 다.. 2024. 2. 3.